CJ ENM, 공포영화 전문레이블 '413 픽처스' 론칭
믿고 보는 호러 영화 제작사 탄생.

글로벌 융복합 콘텐츠 커머스 기업 CJ ENM이 호러-스릴러 영화 전문 레이블인 ‘413 픽처스’를 론칭한다. 신규 제작 레이블은 동양권에서 불길함을 뜻하는 숫자 ’4’와 서양권에서 불운을 의미하는 ‘13’을 합쳐서 ‘413’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CJ ENM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국내외에서 자사가 제작하거나 배급하는 영화에는 ‘CJ 엔터테인먼트’ 레이블을 계속 사용하면서, 글로벌에서 제작하는 ‘공포-스릴러’ 영화 장르에는 ‘413 픽처스’를 ‘제작 레이블’로 사용할 예정이다.
CJ ENM의 ‘413 픽처스’ 레이블 론칭은 급성장하는 미국 호러- 스릴러 영화 시장 공략 전략의 일환이다. <겟 아웃> <파라노말 액티비티>등을 제작한 ‘블럼하우스’, <그것> <컨저링>등을 제작한 ‘뉴라인시네마’ 처럼 호러-스릴러 영화 전문 제작사 레이블로서의 입지를 구축하겠다는 당찬 포부에서 탄생했다.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미국에서 제작한 200억 미만의 저예산 호러-스릴러 영화의 전 세계 박스오피스 매출은 2016년 처음으로 1조원대 매출을 넘어섰다. 2013~2015년 4,000~7,000억원대에 머무르다가 급 성장을 보이며 2017년에는 1조 3700억원까지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향후 ‘413 픽처스’는 한국을 위시하여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터키 등 아시아 지역의 우수한 콘텐츠들의 미국 진출을 주도할 계획. CJ ENM 영화콘텐츠 Unit 고경범 해외사업본부장은 “CJ ENM은 아시아 지역에서 확보한 창작자 네트워크와 콘텐츠를 기반으로 동양권의 독특한 세계관이 가미된 호러-스릴러 영화를 제작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CJ ENM이 ‘413 픽처스’ 레이블을 통해 제작 예정인 영화 라인업은 벌써부터 쟁쟁하다. 미국 <하우스 메이드> <숨바꼭질>, 태국 <미인도> 등이 일찌감치 제작을 확정지었다. 먼저 2013년 개봉해 56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숨바꼭질>(국내 제공/배급: NEW)의 미국판이 할리우드 배우 겸 감독 조엘 데이비드 무어(Joel David Moore)가 메가폰을 잡기로 확정하고 올해 10월 크랭크인 된다. 지난 2016년 CJ ENM이 제작한 한-베트남 합작 영화 <하우스 메이드>는 2010년 아카데미 각본상 수상자인 제프리 플레쳐(Geoffrey Shawn Fletcher)가 각색과 각본을 맡으면서 미국판으로 새롭게 제작 중이다. 두 작품 모두 ‘413 픽처스’ 레이블로 개봉될 작품.
태국에서는 저주받은 저택과 미인도를 둘러싸고 펼쳐지는 하우스 호러 영화 <미인도>(A Portrait of a Beauty)가 오는 10월 크랭크인 해 ‘413 픽처스’ 레이블로 개봉된다. 태국의 유명 호러 영화 시나리오 작가 에카지트 타이랏 (Eakasit Thairaat)이 참여하고, 태국 인기 CF 감독 수라퐁 플로엔상(Surapong Ploensang)이 첫 장편 영화 연출에 도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