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애플 페이, 교통카드 기능 도입 여부는?
아이폰만 들고 다녀도 될까?

애플이 애플 페이를 국내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교통카드 연동 서비스 도입은 상당 기간 늦어진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자신문>은 26일 금융당국과 업계 소식을 인용하며 애플이 국내 교통카드 사업자인 티머니, 캐시비 등과 애플 페이 교통카드 탑재를 놓고 협의 중이나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전자신문>은 교통카드 연계 협상이 난항을 겪는 이유에 대해 “애플이 카드를 대체하는 토큰을 애플만 접근 가능한 ‘eSE’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저장된 토큰을 불러 처리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대중교통 인프라는 주로 신용카드나 선불형 교통카드에 내장된 RF 칩을 통해 카드번호를 불러온다. 삼성페이는 티머니와 캐시비 등의 교통카드 사업자가 카드 정보, 결제 등을 유심과 같은 심에 등록하고, 결제 때 이를 불러오는 SIM-SE 기반 시스템을 이용 중이다.
애플이 eSE 방식을 고수할 경우 대중교통에 설치된 단말기를 EMV 규격 단말기로 교체해야 한다. 다만, 이 경우 많은 비용이 드는 만큼 실제 도입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에 관해 티머니와 캐시비 측은 “애플 페이 교통카드 기능 도입 여부에 관해 확인해줄 수 없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