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세먼지 심한 날에 조기퇴근 및 재택근무를 권고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다가오는 봄부터.

정부가 미세먼지가 심한 날 재택근무를 권고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2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6일 국무총리 소속 범부처 ‘미세먼지 특별대책위원회’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일평균 1㎥당 50㎍ 이상일 때 내려지는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일에 재택근무와 출장최소화, 화상회의 활용 등을 권고하는 안건을 상정, 논의할 계획이다. 권고는 정부 및 지자체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된다.
정부가 미세먼지 대응 수위를 높이는 이유는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후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이 다시 급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 대기오염도는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으며, 핀란드 ‘에너지 청정 대기 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 전역의 작년 1~11월 초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재작년 같은 기간보다 3.6% 상승했다. 이와 함께 태평양 감시 구역 온도가 오르는 엘니뇨 현상도 원인으로 꼽혔다.
환경부는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는 1~2일 전 예비 저감 조치가 이루어지는 만큼,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맞춰 연차 휴가 활성화, 출장 최소화, 화상 회의 활용 등에 대한 협조를 관련 부처와 지자체에 요청할 예정이다. 작년 서울의 경우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날은 총 6일로 근무 유연화로 인한 산업계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정부 지침이 강제성이 없는 ‘권고’이며, 탄력근무를 적극 활용하도록 사기업을 유도하는 별도의 방법도 마련되지 않아 실제 적용 가능성은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