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성명 표기 방식이 ‘성-이름’ 순으로 통일된다
본인 확인 과정에 어려움이 있던 문제가 해소될 전망.

행정문서에 기재하는 외국인 성명 표기 방식이 하나로 통일된다.
지난 28일 행정안전부는 ‘외국인의 성명 표기에 관한 표준안’을 제정하고 국민 의견 수렴 절차를 통해 표준 예규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표준안에 따르면 앞으로 행정문서의 외국인 로마자 성명은 ‘성-이름 순서’로 대문자로 표기하되, 성과 이름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이에 외국인등록증과 국내거소신고증 등 출입국 관련 문서에 기재된 로마자 성명이 있으면 해당 성명으로 표기하고, 문서가 없을 시 외국인이 보유한 여권의 기계판독영역에 기재돼 있는 로마자 성명으로 표기하도록 했다.
또한 외국인의 한글 성명도 성-이름 순서로 표기하지만, 로마자 표기와 달리 성과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인의 본인확인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외국인의 로마자 성명과 한글 성명을 병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
예로, 표준안에 따라 외국인 이름 ‘JOHN PARK’의 경우, 앞으로는 ‘PARK JOHN’인 ‘박 존’으로 표기를 통일해 병기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