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카메라로 ‘가짜 술’ 잡아내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꿀, 올리브유 등 다른 액상 제품에도 활용 가능하다.

연세대와 싱가포르 국립대가 원액에 다른 액상을 섞는 식의 위조 제품을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쉽게 설명하면 양주 원액에 더 저렴한 술을 섞어 만든 ‘가짜 술’이나 값비싼 올리브유, 꿀 등에 다른 제품을 섞어 만든 제품들을 뚜껑을 열지 않고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리퀴드해시’ 기술은 스마트폰 카메라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한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YTN>과의 인터뷰를 통해 액체를 흔들 때 생기는 기포에 주목해 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액체에 다른 액체가 조금만 섞여도 고유의 점도, 밀도, 표면장력이 변하면서 기포의 특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그는 “불순물 비율이 10% 정도일 때부터 가품인 것을 발견, 30% 이상이 넘어가면 적발률이 95% 정도로 정확하다”고 말했다. 해당 기술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으려면 스마트폰 앱 형태로 개발되는 것이 필요하며, 구현될 시 가품으로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