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월드컵부터 조별리그 3위 팀에게 '패자부활' 기회 주어진다
원래는 조 1, 2위팀만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사상 최초로 48개 국가가 출전하는 ‘2026 북중미 국제축구연맹(FIFA, 피파) 월드컵(이하 월드컵)’의 진행 방식이 결정됐다. 피파는 15일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평의회에서 다음 월드컵 경기 운영 방식을 최종 확정했다.
지난 ‘1998년 프랑스 월드컵’부터 ‘2022 카타르 월드컵’까지 32팀으로 대회를 운영했던 피파는 2026년 대회부터 16팀이 추가된 48팀으로 본선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48팀은 4팀씩 12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진행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조 1, 2위 팀은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조 3위 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8개 팀도 토너먼트에 합류한다. 이로 인해 새로운 대회부터는 16강이 아닌 32강전으로 토너먼트가 진행된다.
경기 수도 증가한다. ‘카타르 월드컵’은 조별리그부터 결승전, 3‧4위전까지 총 64경기가 진행됐으나, ‘북중미 월드컵’부터는 40경기 늘어난 1백4경기가 열린다. 당초 피파는 3팀씩 16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진행, 각 조 1, 2위 팀이 32강에 오르는 방식을 계획했으나, 3개 팀을 한 조에 묶을 경우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를 같은 시간에 치를 수 없어 긴장감이 저하되는 점, 두 개 팀이 결탁할 수 있는 점 등을 우려해 4팀을 한 조로 묶는 방식을 택했다고 밝혔다. 이에 관해 “최근까지 논의된 3개 팀 1개 조 체제로 조 2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은 조별리그 최종전 승부조작 가능성 등 위험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길어지는 일정에 대비해 대회 전 준비 기간은 기존 23일에서 16일로 줄어든다. 각종 클럽대항전에 나서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괄적으로 대회가 개최되는 해 5월 25일부터 각국 대표팀 소집이 가능하다. 결승전까지 56일 안에 훈련, 휴식, 대회를 모두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선수 건강 등을 위해 경기와 경기 사이 72시간 휴식을 주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