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가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무려 발렌시아가를 제치고.

일본 스파 브랜드 유니클로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글로벌 패션 시장의 흐름 변화를 입증했다. 명품 브랜드들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니클로는 합리적 가격과 실용성을 무기로 눈에 띄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은 매출 3조4005억 엔, 한화 약 32조 원을 달성했으며, 순이익은 4330억 엔, 약 4조 원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과 순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로, 구찌와 보테가 베네타, 그리고 발렌시아가를 보유한 프랑스 명품 그룹 케링의 지난해 매출인 약 28조6700억 원을 넘어서는 규모다. 케링은 주력 브랜드 구찌의 장기 부진으로 순이익이 전년 대비 46% 급감했으며, 이는 럭셔리 시장이 중국 소비 둔화로 전반적인 침체기에 들어선 것으로 예상된다.
허나 유니클로는 ‘명품 대신 실용’을 택한 소비 트렌드 속에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유니클로의 일본 내 매출은 1조260억 엔, 한화 약 9조8000억 원으로 집계되며 일본 의류업계 최초로 연 매출 1조 엔의 벽을 돌파했다. 최근 5년간 매장 수를 줄이고 대신 대형화 및 고효율 전략을 강화해 수익성을 끌어올린 결과다.
또한 유니클로는 해외 시장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지난 1년간 해외 매출은 1조9102억 엔, 한화 약 18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 한국에서는 매출 1조 원을 돌파하며 ‘일본 불매운동’ 이후 4년 만에 완전히 회복했으며, 미국에서도 24.5%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패스트리테일링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유니클로의 성공 모델을 다른 브랜드에도 적용해 일본 내 시장 점유율 20%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현재 패스트리테일링은 유니클로 외에도 지유, 띠어리 등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