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가장 좋아하는 향은 바닐라, 최악의 향은?
좋아하는 향 2위는 복숭아.
인간이 가장 좋아하는 향은 바닐라라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현지 시각 4일, 옥스퍼드 대학과 스톡홀름 칼카롤린스카 연구소가 공동 연구한 내용을 토대로 이와 같이 보도했다.
연구는 전 세계 9개 문화권 2백35명에게 10가지 향을 선물하고, 이에 대한 취향을 조사했다. 문화권에는 미국, 멕시코, 태국 도시 지역 사람들과 남미의 산지에 사는 농부,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의 수렵 채집민, 중앙아메리카 태평앙 연안의 어촌 공동체 등이 포함됐다.
10가지 향은 세계의 모든 냄새를 대표하기 위해 냄새와 관련된 약 5백 개 분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됐다. 목록에는 땀에 젖은 발, 썩은 생선, 버섯, 라벤더, 바닐라 등이 포함됐다.
참가자들은 10개 향의 냄새를 맡고, 나머지와 비교하여 얼마나 기분이 좋았는지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았다. 가장 선호되는 향에는 난초에서 추출한 바닐라가 꼽혔으며, 두 번째에는 복숭아와 유사한 화학약품이, 세 번째에는 라벤더 향이 나는 화학물질이 꼽혔다. 최악의 냄새로는 땀에 젖은 발, 썩은 생선, 지나치게 익은 피망 냄새 등이 선정됐다.
연구팀은 “전 세계 사람이 같은 냄새를 인지하고, 같은 종류의 냄새를 좋아하는지 혹은 (향에 대한 선호가) 문화적으로 학습된 것인지 조사하고 싶었다”라며 “전통적으로 (선호도는) 문화와 연관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거의 관련이 없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연구팀은 “향기의 화학 구조는 사는 곳, 언어, 먹는 것과 상관없이 유사하게 좋거나 싫은 반응을 이끌어낸다”라며 “이는 특정 냄새가 역사적으로 생존 가능성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특정 냄새가 독성 식물과 관련이 있고, 고대 조상이 이를 꺼려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연구팀은 “전 세계의 문화는 비슷한 방식으로 냄새에 순위를 매기지만, 선호도에는 개인적인 요소가 가미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