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화폐 시총 하루 만에 256조 원 감소, 루나 99% 폭락
바이낸스가 루나를 상장 폐지했다.

글로벌 가상 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무려 2천억 달러, 한화 약 2백56조 원 감소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시총 1위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지난 2020년 12월 이후 16개월 만에 처음 2만6천달러 아래로 떨어져 최저 2만5천4백 달러대를 찍었다. 시총 2위 이더리움도 2천 달러 밑으로 내려왔다. 이들 가상 화폐는 이후 가격을 회복했지만 각각 3만 달러, 2천 달러 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법정 화폐 달러화에 연동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코인 중 최대 규모인 ‘테더’ 역시 이날 1달러 가격이 붕괴되면서 가상 화폐 시장에 충격을 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러한 급격한 하락이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 및 일부 스테이블코인의 디커플링 사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것임을 전망하게 하는 수치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산 가상 화폐 ‘루나’ 및 자매 스테이블코인 테라USD(UST)의 폭락 사태가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견이다.
1달러로 가치가 유지되도록 설계된 자매 스테이블 코인 테라의 알고리즘이 깨지자 루나의 가격은 24시간 만에 무려 99%나 폭락했고, UST의 가격 또한 기존의 절반까지 떨어졌다. <CNBC>는 이후 루나파운데이션이 UST 가격 지지를 위해 비트코인을 대량 처분할 경우 이는 비트코인 시세 추가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데일리>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전날 루나의 마진 거래를 종료한 데 이어 현물 거래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