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의 주가가 43년만에 급락했다
시가 총액 17조 원 증발.

나이키가 9일 연속 주가 하락을 기록했다. 뉴욕 증권 거래소에 따르면 나이키는 지난 8월 7일, 1백10.48달러를 시작으로 9일 연속 주가가 하락했고 22일에는 101.46달러로 마감했다. 1980년 12월 기업공개(IPO) 이후 최장기간 연속 하락세다. 해당 기간 나이키의 시가 총액은 약 17조 4천억 원(130억 달러)이 증발했다.
나이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중국의 소비 침체와 재고 증가로 추정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소매 판매 증가율이 2.5퍼센트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인 4퍼센트를 크게 밑돌았다. 나이키의 총매출 중 17퍼센트가 범중화권에서 나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소비 침체는 나이키에게 치명적이다. 이에 관해 시장 전략가 매트 말리는 “나이키의 투자자들은 중국 판매율 성장이 줄어들 거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최근 스포츠 의류 브랜드들이 대체로 재고가 쌓이고 있다는 점도 나이키의 악재다. 애널리스트 톰 니키지는 “최근 언더아머와 챔피온을 보유한 ‘하네스’가 운동복 업체들의 높은 재고 수준이 회사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라고 전했다. 이는 나이키 투자자들의 우려를 한층 키웠을 것이다”라는 의견을 밝혔다.
나이키 투자자들은 오는 9월 말 공개될 ‘풋라커’의 실적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풋락커는 스포츠 브랜드 전문 쇼핑몰로, 지난해 스포츠 용품 판매량 중 65퍼센트를 나이키가 차지했던 만큼 풋라커의 실적이 나이키의 하락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