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빔이 주목한 교토 속 조선 공예
일본 전통의 심장, 교토에서 조선을 만나다.









비즈빔이 브랜드의 홈페이지를 통해 전개하는 특종 시리즈 ‘논문(Dissertation)’에 한국 전통 공예품에 대한 이야기가 소개됐다. ‘논문’은 비즈빔의 작업에 영감을 주는 세계 곳곳의 이름난 공예 및 예술산업에 대해 다루는 아카이브형 저널이다.
비즈빔이 이번 ‘논문’을 통해 집중 탐구에 들어간 곳은 교토의 찻집 리세이(Risei). 리세이는 한국인 3세 정용화씨가 운영하는 찻집으로 한국의 전통 공예와 문화를 일본에 알리고자 2008년 교토의 한 가게를 인수하고 이 공간을 차렸다. 정용화 씨의 조부모는 일본에 거주한 한국인 1세로 1988년 교토 고려 미술관을 설립한 장본인이다.
하얀 빛깔의 백자와 철 안료 문양의 철화백자, 호랑이 민화, 소나무를 깎아 만든 탁자 등 찻집 리세이 곳곳은 영락 없는 조선 전통의 공예품으로 채워져 있다. “찻집의 공예품 대부분은 과거 할부로 구입했습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들로 화려하지는 않아도, 소박하고 담백한 맛이 있죠.” 대추차와 시루떡 그리고 비빔밥 등, 찻집 리세이의 메뉴에서도 한국 전통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일본 전통의 심장, 교토에서 조선을 만나는 일은 어쩌면 꽤나 벅차고 귀한 경험일 수 있겠다. 비즈빔 덕분에 교토 여행시 꼭 들려야 할 장소가 하나 더 늘었다.
리세이(RISEI)
448-16 니슈지메 히가시이루, 가와라마치-도리 이마데가와사가루, 카미교-구, 교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