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전 한눈에 살펴보는, 애플 아이폰 13 루머 총정리
디스플레이부터 세부적인 기능까지.

애플은 새로운 아이폰을 출시하는 동시에 차기작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는, 흔치 않은 브랜드다. ‘존버가 답’이라는 표현이 생길 정도로, 디자인부터 기능까지 세세한 부분에 관해 여러 소문이 떠도는데, ‘애플의 소식통’이라 불리는 밍치궈 애널리스트의 보고서, 여러 테크 전문 외신들의 기사 등은 애플이 내놓을 신작을 가늠하는 지표가 된다. 그렇다면 2021년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 13은 과연 어떤 부분이 바뀌고 나아질까? 이제껏 공개된 여러 소문 중 신빙성에 무게가 있는 내용들을 추려 정리했다.
아이폰12와 동일한 구성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번 아이폰13 라인업은 아이폰12와 동일한 화면 크기, 갯수로 제작될 전망이다. 구성에는 5.4인치 아이폰13 미니, 6.1인치 아이폰13 프로, 6.7인치 아이폰13 맥스가 포함되었으며, 모델명은 아이폰12S 등과 같이 다른 이름으로 출시될 가능성도 있다.
작아진 노치
밍치궈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아이폰13 모델은 전면 카메라와 페이스ID 부품이 들어가는 노치의 크기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애플은 여러 페이스ID 센서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전해졌다.
올웨이즈-온 디스플레이
애플이 심혈을 기울여 구현한 올웨이즈-온 디스플레이는 애플 워치 시리즈 5를 통해 선보인 기능으로, 항상 화면이 켜져있어 시간, 배터리 등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다. 애플은 해당 기능을 아이폰 13 새 모델에도 탑재시킬 전망이다.
A15칩 탑재
새로운 아이폰에는 더 빠른 A15칩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5nm+ 과정을 바탕에 둔 TSMC에 의해 제작된다고 한다.
더 큰 배터리 용량
아이폰13은 아이폰12보다 더 큰 배터리 용량을 갖출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로직 보드의 통합 심 카드 슬롯 등으로 인해 구현될 것이라고 한다.
센서 시프트 카메라 안정화
아이폰13에는 센서 시프트 안정화 기능이 더해질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아이폰 12 프로 맥스에 센서 시프트 안정화 기능을 최초로 도입, 카메라 센서를 안정화하여 더 나은 사진 및 영상 품질을 제공했다. 해당 기능은 아이폰13 전 제품에 적용된다고 한다.
5G 모뎀
애플은 아이폰13 모델에 퀄컴사의 스냅드래곤 X60 모뎀을 사용할 예정이다. 5nm 공정으로 제작된 X60은 아이폰12에 쓰인 스냅드래곤 X55보다 전력 효율이 나아 더욱 긴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더불어 mmWave 서브-6GHz 밴드를 통해 5G 데이터를 동시 수집해 고속 및 저지연 네트워크 범위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게된다.
와이파이 6E
바클레이 애널리스트 블레인 커티스와 토마스 오밀리에 따르면, 아이폰13 시리즈는 와이파이 6E를 최초로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 와이파이 6E는 6GHz 대역으로 확장된 더 나은 성능, 낮은 지연시간, 더 빠른 데이터 속도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2.4GHz 및 5GHz 와이파이보다 더 많은 공역을 제공한다.
라이트닝 커넥터
밍치궈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미래를 쉽게 예측할 수 있기 위해 라이트닝 커낵터를 계속 사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mmWave 확장
<이코노믹 데일리 뉴스>의 보고에 따르면, 아이폰13 시리즈는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도 초고속 mmWave 5G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