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미국 시장 퇴출 위기 본격화됐다
살기 위해서는 보유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가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틱톡의 보유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틱톡을 미국 시장에서 퇴출하겠다고 압박을 가했다.
중국 바이트댄스의 지분 60%는 글로벌 투자자가, 20%는 직원이, 다른 20%는 창업자들이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결권은 창업자 보유 지분에 부여돼 있어 미국 정부가 이들을 정조준한 것으로 보인다. 16일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번 결정은 조 바이든 정부의 주요 정책적 변화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미국이 정부 기관이 보유한 전자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한 가운데, 이번 보유 지분 매각 요구는 틱톡에 가한 가장 수위 높은 제재이다. <로이터>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바이트댄스 측에 지분을 매각하라며 비슷한 압박을 가한 적이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는 처음”이라고 상황의 심각성을 전했다.
틱톡은 이날 성명에서 “국가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 우리가 구현하고 있는 제삼자 모니터링 등을 통해 시스템을 투명하게 보호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틱톡은 미국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접근을 막기 위해 데이터와 콘텐츠를 보호하는 프로그램에 15억 달러, 한화 약 1조9천5백억 원을 지출하겠다고 밝혔다.
틱톡은 개인정보 유출과 중국 공산당의 알고리즘 조작을 우려로 전 세계에서 위기 국면을 맞았다. 인도는 2021년 이미 틱톡 사용을 완전히 금지했으며 일본, 캐나다, 영국은 정부 업무 기기에서의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