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가 미국 국가 부도를 경고했다
부채 한도인 31조4천억 달러는 진작에 넘겼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에 국가 부도를 경고했다.
미국의 국가 부채가 법으로 정해진 한도인 31조 4천억 달러, 한화 약 4경4천60조 원에 도달하자 채무불이행이 우려되고 있다. 오는 6월 5일까지는 임의로 국채를 발행하는 특별 조치에 들어가 위기를 모면했지만, 궁극적으로 국가 부도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국 정부가 국가 부채 한도를 상향해야 한다. 그러나 공화당과 바이든 행정부의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아 상향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만약 국가 부채 한도가 상향되지 않아 미국이 부도가 난다면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줄리 코잭 IMF 대변인은 “미국의 당사자들이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합의에 도달할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며 “새로운 고금리 환경에서 더 많은 숨겨진 취약점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책 입안자들이 경계를 늦추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최근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을 인수한 JP모건 체이스의 CEO는 “디폴트 위기에 대비해 ‘전시 상황실’을 가동 중”이라며 “최악의 사태는 방지하더라도 미국의 현금 보유고가 바닥나는 시기가 다가올수록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증시엔 아직 큰 변동이 없다. 의회가 부채 한도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 행정부는 만약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가 끝내 상향되지 않을 경우 이르면 다음 달 사상 초유의 디폴트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현재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불참하거나 화상으로 참석하는 방향도 거론하며 해당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