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후에도 인간 뇌에서 활동하는 ‘좀비 유전자’가 발견됐다
지금도 우리 머릿속에서 활동 중이다.

사람이 죽고 난 후에도 뇌 속의 특정 유전자는 살아남아 활동을 이어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시카고일리노이대학 연구팀이 진행한 유전자 발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뇌에 있는 특정 세포에서는 사망 이후 유전자 발현이 되려 증가했다.
일부 외신이 ‘좀비 유전자’로 표현하고 있는 해당 세포의 정체는 ‘신경교세포’라고 불리는 염증성 세포. 시카고일리노이대학 의과대학 신경 및 재활전문의 제프리 롭 박사는 “신경교세포는 원래 산소 결결핍이나 뇌졸중 같은 뇌 손상을 치료하고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며 “이런 점에서 사망 후 신경교세포가 커지며 팽창하는 현상은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또한 롭 박사는 “좀비 유전자는 정신분열증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장애를 연구하는 연구원들에게 중요하다”라며 “대부분의 연구는 심장이 작동을 멈추면 뇌를 포함한 모든 신체의 활동이 멈춘다고 가정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고 전했다.
반면 인간의 기억, 사고, 발작과 같은 뇌 활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부 뉴런 유전자 그룹은 사망 후 급격하게 퇴화했는데, 좀비 유전자는 뉴런 유전자가 퇴화됨과 동시에 활동량이 증가했다고 한다. 이번 ‘좀비 유전자’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를 통해 공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