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심체요절’, 무려 50년 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다
두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기회.

현존하는 금속활자 인쇄본 중 가장 오래된 <직지심체요절>이 무려 오십 년 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다.
프랑스국립도서관이 오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열리는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전시에서 선보이는 유물에 <직지심체요절>이 포함된 것. 직지는 1973년 같은 장소에서 열린 ‘동양의 보물’ 전시 이후 사진과 다큐멘터리를 통해서만 공개됐다. <직지심체요절>은 승려인 백운 경한 스님이 여러 부처와 고승들의 대화 및 편지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해 편찬한 책으로 1377년 충북 청주 흥덕사에서 완성된 금속활자본이다. 이는 인쇄사의 중대한 분기점이 된 1455년 간행된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무려 78년 이르다.
전시에는 <직지심체요절>과 구텐베르크 성서 외에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목인 ‘프로타 판목’이 포함될 예정이다.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직지심체요절>에 대해 “인쇄술은 지식과 정보를 보존하고 전파하는 핵심”이라며 “이를 가능케 한 원천인 금속활자 인쇄 기술을 한국이 활용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밝혔다.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된 바 있는 <직지심체요절>은 상, 하, 총 두 권으로 나뉘어 간행된 것으로 알려지지만 현재는 하권만 남아 이번 전시에 오른다.
⏰ L’expo « Imprimer ! L’Europe de Gutenberg » ouvre bientôt ses portes @laBnF : https://t.co/aFTd7zecmK
📚 Pour patienter, devenez incollables sur les origines du livre imprimé avec notre glossaire : un mot par jour jusqu’au 12 avril !#ExpoImprimerBnF #Thread ⤵ pic.twitter.com/quQfhCnQWO
— Bibliothèque BnF (@laBnF) March 20, 2023